여러분, 얌전한 아이 보셨나요 ? 네, 가끔 얌전한 아이들도 있지만 아이들은 대부분 가만히 있는 경우가 잘 없죠. 모터달린듯 계속 움직이고 놀다보면 다치고, 그게 아이들이 크는 과정이라 생각하죠. 그때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들은 저러면서 크는거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하지만 ADHD 일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죠.
이 ADHD는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되면 학습이나 대인관계 등 모든 것에 큰 지장을 줍니다. 일명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죠. ADHD 증후군의 증상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원인과 치료방법이 뭘까요.
ADHD 증후군 원인
먼저 유전적인 요인이 있습니다. ADHD가 있는 아동을 살펴본 결과 가족력의 경우가 있으며 주의력결핌 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아동을 보면 형제의 발생률은 대략 30%내외 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에 부모가 ADHD라면 그 자녀는 57% 발생률을 보였다는 결과 또한 있구요.
심리적인 요인
부모들의 자녀 관리 방법이 잘못되었을 확률이 있습니다. 소위 '오냐오냐 키운다'라고 표현하기도 하죠. 또한 부모의 정신병리와 심리적 방어기제들이 자녀의 ADHD와 관련이 높다는 사회심리적 요인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주위 산만하다.
ADHD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주의력을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죠, 즉 집중을 못한다는 말입니다. 무시해야할 자극에 의해서도 주의가 산만해지죠. 부모님은 이런 모습을 보고 '쉽게 산만해진다','집중하지않는다' 등의 표현을 많이들 하십니다.
과잉행동
과잉행동이란, 한마디로 안절부절하지못하고, 불필요한 움직임을 끊임없이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쉬지않고 계속 돌아다니며 지나치게 버릇이 없는 경향이 있습니다.
ADHD 자가진단, 혹시 우리아이도?
지금부터 제가 보기를 드리겠습니다. 여기서 6개 이상의 문항이 6개월동안 지속되면, 병원을 내원하셔서 진단을 받는 것을 권합니다.
1. 학업이나 활동에서 부주의하고, 실수가 잦으며, 세부적인 것에 면밀하고 집중을 하지 못한다.
2. 놀이를 하거나, 일을 할때 지속적으로 주의집중하기 어려워하며 집중력이 분산된다
3. 부모님 뿐만아니라 타인이 말을 할때 귀기울여 듣지않는다.
4. 지시를 했던 것에 힘들어하며, 반항적이다
5. 과업과 활동을 체계화시켜서 수행하지 못한다.
6.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학업과 숙제를 매우 싫어하고, 피하거나 반항한다
7.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8. 외부의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지는 경향이 있다.
9. 일상적인 활동을 자주 잊어버린다.
치료받는것이 아이를 위한것.
주위 아이때 ADHD 진단을 받고 치료하지 않은 이가 있습니다. 그는 아직까지 안절부절하며 주의력 결핍으로 인해 어딘가 하나에 집중하지 못해서 사회생활을 원만히 못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ADHD는 무조건 초기에 치료가 되어야합니다, 그것이 아이의 미래를 위한 길이니까요.
ADHD 증후군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
총 4가지 유형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ADHD 아동들의 약 70-80% 매우 효과가 있는 방법이죠. 힘들긴 하겠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다음으로는 교육적 방법이 있습니다. 수업규칙과 긍정적 행동에 대해 관심주기, 반응 대가법 적용 등의 민간요법이 있죠. 다음은 정신치료가 있습니다. 카운슬러가 환자와 함께 단계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며 사회기술훈련치료방법은 친사회적인 행동을 증가시키는 훈련을 시키죠.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민간요법이 좋긴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가족들에게 덜 힘든 치료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댓글 영역